부동산 3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 금리 인상! 금리 인하시기와 투자 방법은?

요즘 '금리'란 소리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지끈한 분들 많으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 블로그에서도 주로 다루는 주제 중에 하나인데요.현재 미국 연준 빅 스텝이 아닌 ' 자이언트 스텝'이란 표현을 써가면서금리를 정말 시원하게(?) 올리고 있죠..ㅠㅠ 실제로 지난달 14~15일 열린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정책금리를 한 번에 0.75bp 인상을 했죠.이는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최대 인상폭입니다. FOMC 회의 이후 제롬 파월 의장은 중앙은행의 수장으로서 이례적인 발언을 했습니다. "집을 살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재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모기지 금리가 다시 낮아지는 때를 기다려야 한다."  난 금리를 올릴 거고 주택 가격이 급락할 수 있을 수 있으니 일단 기다려 보라는 ..

재테크 2022.07.04

부동산 전월세 역전 현상 발생 원인 분석

요즘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뉴스인 것 같습니다.부동산 '전월세 역전'쉽게 말해 전세와 월세 중 월세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뜻이죠.  전월세 역전 현상 왜 발생할까? 왜 좋다고 하는 전세 제도를 두고 월세를 선택할까요?이유는 간단한것 같습니다.전세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대비 월세가 싸기 때문이죠. 월세 관련 통계 수치를 한번 찾아봤습니다.'22.04월 임대계약 25만 8313건 중 월세는 13만 295건이네요.비중으로 보면 월세가 50.4%, 전세가 49.6%로 전국 거래량 사상 처음으로 역전을 했습니다. 다음은 KB아파트 월세지수입니다.'22.05월 월세지수(전국 기준)가 102.3인데요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12월 이후 최고치입니다.그만큼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졌다고 볼 ..

재테크 2022.07.03

고금리 시대 주담대, 고정 금리와 변동 금리 어떤게 나을까?

진짜 어려워진 내 집 마련...ㅠㅠ대출 없이 집 사기란 거의 불가능한 시대인 것 같습니다. (물론 예외인 분도 있겠지만요;;)  설상가상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금리 인상)으로 인해영끌로 집을 산 이들에게는 정말 힘든 시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최근 기사를 찾아보면 주담대가 8%까지 오를 수 있다는 뉴스도 보이더군요.  최근 주담대 금리를 보면,4대 시중은행 주담대 고정금리는 약 4.3 ~ 6.9% 정도입니다. 거의 7%에 육박한 수치입니다.작년 말에 3.9 ~ 5.6% 였으니 거의 0.4 ~ 1.3 % 정도가 올랐네요. 문제는 주담대 대출자의 대부분이 변동 금리 상품을 이용한다는 것입니다.지난 4월 기준으로 보면 주담대 고정금리 비중은 약 19% 수준이었습니다.약 80%가 변동금리로 주담대를 받았으며 금리..

재테크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