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개인형 퇴직연금 IRP!

프리머니 2022. 6. 9. 22:49

안녕하세요 프리머니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노후를 준비하며 년간 700만 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IRP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신한금융투자>


 

2050년이 되면 대한민국은 남자 기준 평균 나이가 53.3세초고령 사회가 됩니다.

지금부터 30년 뒤에는 젊은 층이 많이 줄게 된다는 의미인 것이죠. (세부 내용은 예전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요!)

즉, 노동 가능 인구 감소가 일어나게 되고 국민연금을 통한 노인들의 부양은 점점 더 힘들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민연금 고갈 이슈가 몇 년째 끊이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2.06.03 - [이슈] - [이슈] 머스크도 경고한 한국 저출산 문제!

 

결국 지금부터 노후준비를 하지 않으면 남은 여생을 불행하게 살 수도 있는 것이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개인형 퇴직 연금인 IRP에 대해서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IRP란?

 

1. 정의

     -. 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입니다.

        즉, 개인형 퇴직 연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가입 목적

    -. 퇴직 연금 형태의 노후자금 마련 (연금저축과 유사함)

 

3. 가입 대상

     -. 대한민국 국민 중 소득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다 가능합니다.

         : 사업자, 공무원, 근로자, 교직원, 군인 등등

 

4. 납입 한도

     -. 최대 년 1,800만 원까지 가능 (= IRP + 연금저축)

         : 즉, IRP와 연금저축을 합쳐 년 1,800 만 원의 Cap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IRP 계좌는 증권사당 1개씩만 개설 가능합니다!)

     * 1,800 만 원인 납입 한도 의무는 아닙니다! (능력껏 채우면 됩니다!)   


가입 시 혜택은?

 

1. 세액 공제

     -. 연 간(1월 1일 ~ 12월 31일) 납입한 총금액에 대해 세액 공제를 받음

     -. 급여에 따라 다르지만, 총급여가 5,500 만 원 이하는 16.5%, 초과는 13.2 % 의 세액 공제 혜택을 받게 되는 것이죠.

         : 연 700 만원을 다 채울 경우 최대 115.5만 원 세액공제 가능!

 

<출처 : 신한금융투자>

※ 세액 공제 금액 정리

 

앞서 설명드린 대로 납입 한도는 연 간 1,800만 원입니다.

하지만 총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금액은 700만 원(IRP + 연금저축)인 것이죠.

만약 연금저축이 없다면 IRP만으로 총 700만 원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Note] 세액 공제소득 공제의 차이

세액 공제란, 내야 할 세금 자체를 깎아 주는 것.

소득 공제란, 세금을 부과해야 하는 대상을 줄여주는 것.

 

 

2. 과세 이연

     -. 연금수령 전까지 세금 납부 없음 (인출할 때 세금을 징수)

         : IRP 상품에서 발생하는 세금(ex. 이자 소득세, 배당 소득세 등)을 연금 수령 시 연금 소득세로 냄

          ▶ 엄청난 복리 효과!

 

<출처 : 신한금융투자>

 

3. 적은 연금 소득세

 

IRP는 55세 이후 자유롭게 연금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수령기간 : 최소 10년 이상!)

그동안 혜택을 받았던 세액공제 및 과세이연에 대해서 연금을 받을 때 연금 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 연금 소득세 세율

    1) 55세 이상 ~ 70세 미만 : 5.5%

    2) 70세 이상 ~ 80세 미만 : 4.4%

    3) 80세 이상 : 3.3%

 

여기서 중요한 건 세액공제를 받은 원금과 이익금에 대해서 3.3 ~ 5.5 % 부과 되게 됩니다.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원금(IRP + 연금저축 합산 700만 원 이상 납입금)에 대해서는 미부과 되는 것이죠.


 운용 방식

 

그럼 IRP는 어떻게 운용을 해야 할까요?

IRP는 내가 원하는 다양한 상품(예금, 펀드, ETF, 리츠, RP 등)을 사서 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IRP는 퇴직금의 개념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위험 자산안전 자산의 비율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위험 자산(주식, ETF 등) 70%, 안전 자산(예금, 채권 등) 30%

 

저는 IRP를 통해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를 맞춰서 매수하고 있습니다.

매수 상품은 자세한 설명과 함께 조만간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도 해지를 하면?

 

사람일은 아무도 모르는 것이죠.

만약 급한일로 IRP를 중도에 해지하게 되면 기타 소득세를 16.5%를 부과하게 됩니다..ㅠ

정말 어렵게 저축해서 한 번에 날아가게 되는 것이죠...

 

소득금액에 따라 세액공제를 차등으로 받지만 해지 시 기타 소득세는 소득 금액과 상관없이 동일하게 부과된다는 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결국 연금이라는 것은 가급적이면 노후까지 끌고 가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IRP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초고령화 시대로 접어드는 지금 노후 준비는 필수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퇴직연금(회사)과 국민연금을 제외하고도 별도의 준비가 필요한 것이죠.

그 대표적인 상품이 개인연금과 IRP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꼭 가입하셔서 엄청난 세제 혜택과 복리 효과를 누려보시는 건 어떨까요?

 

개인연금 관련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도 한번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2.04.19 - [재테크/개인 연금 투자] - "연금저축"펀드가 꼭 필요한 이유!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리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