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환율 너무 높습니다.
어제(2022.06.24일) 종가 1,296원.
이렇게 환율이 높다 보니, 외인들은 환차익 때문에 주식을 팔기 바쁘고..
그러다 보니 주식은 자꾸만 땅굴을 파고 들어가고..ㅠ
주식하는 분들 입장에선 정말 짜증 나는 시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렇게 환율과 주식시장이 엉망이다 보니 요즘 뉴스에서 종종 등장하는 검색어가 있죠.
바로 '통화 스와프'란 단어입니다.
대체 통화 스와프가 뭐길래 우리나라 환율이 올라갈 때마다 뉴스에 등장하는 걸까요?
통화 스와프(Currency Swap)란?
통화 = Currency (화폐, 돈)
스와프 = Swap (교환하다)
즉, 상대 국가와 단기적인 자금 융통을 행하는 계약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미 통화스와프라고 하면,
한국은행은 미국 연준으로부터 필요할 때 달러를 빌려오고
미국 연준은 한국은행으로부터 필요할 때 원화를 빌려오는 것이죠.
상대방에게 돈을 빌렸으면 이자를 내야겠죠?
통화 스와프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미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면 한국은 미국에 달러로, 미국은 한국에 원화로 금리를 주게 됩니다.
이 금리를 통화스왑(CRS _ Currency Rate Swap)이라고 하는데요.
보통 CRS 금리는 0보다 높은 것이 정상인데 0보다 작은 경우라면 원화를 빌려주면서 오히려 이자를 추가로 줘야 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기 더합니다. 그만큼 원화의 가치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죠.
실제로 2020년 3월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전에 CRS 금리가 마이너스까지 갔던 걸 확인할 수 있었죠.
통화 스와프 이후 CRS 금리가 안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화 스와프 왜 할까?
그럼 이 통화 스와프는 왜 하는 걸까요?
1. 국가 신뢰도의 증빙 '외환보유고'
외환보유고는 환율을 안정시키고 국가 통화 가치를 안정시키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습니다.
외화가 충분히 있어야 다른 국가나 기업들과 실물 자산, 원자재 등을 거래할 수 있는 것이죠.
특히 기축통화인 달러는 그 대표적인 외화로 꼽히기 때문에 한미 스와프, 한미 스와프 하는 것이죠.
우리의 슬픈 역사 IMF가 발생했던 1997년엔 안타깝게도 국가간 통화스와프 시스템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외환보유고가 바닥이 나면서 외환 위기가 발생했었던 것이죠..ㅠ
아래 그래프는 외환보유액 추이인데,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안전 자산의 확보
요즘처럼 대외 환경이 안좋고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는 많은 분들이 현금을 확보하죠.
국가 또한 마찬가지로 현금을 확보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며 기축통화인 달러를 확보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한미 통화 스와프는 2020년 3월 19일 한국은행은 미국 연준과 600억 달러(당시 기준 약 77조) 통화스와프 계약이었습니다.
계약 기간은 6개월이었고 당시 계약으로 인해 한국 통화스와프 총액은 약 1932억 달러로 늘어났죠.
당시 통화 스와프의 목적은 당시 급격히 악화된 글로벌 달러 자금 시장의 경색 해소였습니다.
당시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로 1300원 근처까지 갔던 원달러 환율은 이후 급격히 하향 안정화되기도 했었죠.
통화 스화프 이후 주가는 어떻게 될까?
위에서 보니 통화 스와프 이후 환율이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환율 안정화 = 외국인 수급 유입'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죠.
그럼 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1. 2008년 10월 29일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이후 : 코스피 지수 약 11% 급등
2. 2020년 3월 19일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이 후 : 코스피 지수 약 7% 급등
코스피 지수의 경우 2008년은 몇달 횡보하다가 올랐고 2020년의 경우에는 바로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둘다 장기적으로는 주가가 오르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꼭 한미 스와프의 영향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영향은 미친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인 것이죠.
이상 통화 스와프의 개념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리 시대 주담대, 고정 금리와 변동 금리 어떤게 나을까? (0) | 2022.06.27 |
---|---|
[주식 기초] 보통주와 우선주의 정의, 배당비교, 투자 방법 정리 (0) | 2022.06.26 |
구글 애드센스 탈락 원인분석(구글 해석 포함), 그리고 재도전! (0) | 2022.06.23 |
TIGER 미국S&P500 vs. TIGER 미국S&P500선물(H) ETF 비교! (0) | 2022.06.21 |
고 환율 시대, VOO(SPY) vs. TIGER 미국S&P500 어디에 투자할까? (2) | 2022.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