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프리머니 입니다!
어제 미국 중앙은행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발표가 있었죠.
한 번에 75bp 인상!! 28년 만에 최대 상승폭이라고 합니다.ㅠㅠ (파월 형 미워유....ㅠ)
그런데 아이러니 했던건 어제 75bp의 기준금리 인상 발표에도 뉴욕증시는 1 ~ 2% 대의 큰 상승을 보여줬다는 점이죠.
무려 75bp 인상이라는 발표에도 시장은 불확실성 해소에 조금 더 무게를 둔 것이죠.
예견된 빅스텝
사실 연준의 이번 빅스텝은 어느 정도는 예견되어 있다해도 과언은 아니었죠.
지난 5월 미국 소비자물자 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었죠.
CPI 발표 이후, 미 언론에서는 지속적으로 75bp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연준은 별 대응은 없었지만, 가장 속이 타들어가는 건 연준이었을 겁니다.
1981년 말 이후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이잡히지 않았으니깐요.
그러다 결국 이번 FOMC에서 28년 만에 최대 상승 금리 인상을 전격 발표한 것이죠.
참고로 이런 빅스텝은 지난 1994년 이후 처음이라고 합니다.
[2보] 美 연준, 기준금리 0.75%p 파격 인상…물가폭등에 '초강수' | 연합뉴스 (yna.co.kr)
[2보] 美 연준, 기준금리 0.75%p 파격 인상…물가폭등에 '초강수'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가파르게 치솟는 물가로 지난 1981년말 이후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허덕이는 미국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www.yna.co.kr
연준의 발표로 미국 기준금리는 현행 0.75 ~ 1.00% 수준에서 1.50 ~ 1.75% 수준으로 크게 상승을 하게 됩니다.
한국에 미칠 영향은?
미 연준의 빅스텝이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당연하겠지만 한국은행도 사상 첫 빅스텝에 압박을 받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는 1.75%입니다.
이건 미국 중앙은행 1.00%이었을 때 기준인데요.
어제 75bp가 올랐으니 한국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나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겠죠.
한국은행에서는 미국 금리인상을 어느 정도는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렸다고는 하지만...
빅스텝에 의한 금리인상 압박을 피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美 자이언트 스텝에...한은 '빅스텝' 가능성 커졌다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美 자이언트 스텝에...한은 '빅스텝' 가능성 커졌다
[서울=뉴시스] 류난영 남정현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기준금리를 0
www.newsis.com
사실 금리 인상 시에 가장 큰 타격을 받는건 영끌해서 투자한 사람들일 것입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대출을 활용해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하기 좋은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인상 되면서 이런 영끌족에게 대출이자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게 된 것이죠.
36억 대출 땐 이자만 年 260만원 더 낸다…영끌족 악소리 | 한경닷컴 (hankyung.com)
3.6억 대출 땐 이자만 年 260만원 더 낸다…영끌족 '악소리'
3.6억 대출 땐 이자만 年 260만원 더 낸다…영끌족 '악소리',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年 6% 눈앞 코픽스 1.98%…3년 만에 최고 美 자이언트스텝 땐 더 오를 듯 '영끌족' 이자 상환 부담 커져
www.hankyung.com
사실 내 집이 필요해서 투자한 것뿐이고 돈이 필요해서 투자한 것 뿐인데요..
대외 여건들이 많은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것 같습니다.
이 또한 지나갈 것이라 믿지만 지금 당장 힘든건 사실이네요..ㅠ
그래도 반드시 좋은 날은 다시 올 거라 믿습니다. 다들 힘 내시고 화이팅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드디어 엔비디아에 HBM 공급하나? (0) | 2024.06.04 |
---|---|
전력 수요 역대 최고 갱신! 전력 예비율 현황은 어떨까? (0) | 2022.07.08 |
[이슈] '고유가 쇼크'에 사우디로 달려간 美 바이든 대통령 (0) | 2022.06.13 |
[이슈] 이더리움의 폭락 (루나 악몽의 재현?) (0) | 2022.06.13 |
[이슈] 끝나지 않는 인플레이션 쇼크(feat.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CPI))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