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61

[돈 되는 정보] 꽤 괜찮은 앱테크 : 워너아이

꽤 오래전부터 해오던 앱테크 중 하나인 워너아이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다날에서 만든 어플이라서 조금 더 믿음이 가는 앱테크 중 하나네요!  그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볼게요~워너아이로 수입창출 방법은 2가지 구조(포인트, 캐시)로 되어 있어요. 1. 포인트 포인트는 현금과 1:1 비율로 교환이 가능해요.포인트는 ①모바일 상품권 구매와 ②현금화(3만 포인트 이상부터)가 가능해요!첫 번째로 포인트 버는 방법을 말씀드려 볼게요~ 1) 신규가입 시 2,000 포인트     - 신규 가입하면 웰컴 포인트로 1,500 포인트를 준답니다. 이때 추천인 코드를 입력하면 500 포인트를 더 받아요!       가급적 주변분들의 추천인 코드를 받아서 신규 가입하는 걸 추천드려요~       만약에 없으시면 제 코드를 사용..

재테크 2022.09.01

인플레이션은 과연 정점을 찍었을까?

요즘 투자자들의 귀에 못이 박힐정도로 많이 듣는 단어 중에 하나죠 "인플레이션" 그런데 얼마전인 지난 7월 29일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Inflation might be trending down"즉,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다는 소리였습니다.  정말 인플레이션은 정점을 찍었을까? 머스크 트윗 이 후 며칠이 지난 8월 10일 미국 CPI 지수가 발표가 되었습니다.(CPI 지수가 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2022.06.11 - [이슈] - [이슈] 끝나지 않는 인플레이션 쇼크(feat.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CPI)) [이슈] 끝나지 않는 인플레이션 쇼크(feat.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CPI))안녕하세요 프리머니 입니다. 어제 미국장을 보셨던 분들은 ..

재테크 2022.08.15

하나머니 현금화 방법! (feat. 카카오페이)

오늘은 많이 쓰시는 하나머니 현금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하나머니를 현금화하기 위해서는 카카오페이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왼쪽 사진] 카카오톡으로 들어가서 맨 아래 점 3개를 눌러 줍니다. 2. [왼쪽 사진] 왼쪽 상단에 pay 버튼을 눌러 줍니다. 3. [가운데 사진] 오른쪽에 설정 버튼을 눌러 줍니다.4. [오른쪽 사진] 밑으로 내리면 페이머니 전환 버튼을 눌러줍니다. 5. [왼쪽 사진] 하나머니를 클릭을 해줍니다.6. [가운데 사진] 개인정보 제3자 제공동의 클릭7. [오른쪽 사진] 이체할 하나머니 입력 후 전체 포인트 전환 클릭 8. 이체 확인 후 송금 버튼을 눌러 지정 통장으로 현금화! 끝!    (전 카카오뱅크로 이체 계좌를 설정해놔서 거..

재테크 2022.08.11

퇴직연금의 떠오르는 상품 'TDF 펀드'란? (매수중인 TDF 공유!)

많은 분들이 퇴직연금을 공부하고 준비하시는 것 같아요!그런데 약간 공격적으로 투자하시는 분들(?)에게 퇴직연금은 약간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ㅎㅎ바로 안전자산 30% 룰이죠! 개인연금펀드는 원하는 ETF를 마음대로 살 수 있는 반면퇴직연금은 개인의 노후 보장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안전자산 30%을 사야 합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좋은 대안인 TDF를 소개시켜드려볼까 합니다..ㅎㅎTDF란? TFD는 'Target Data Fund'의 약자로 연금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는 펀드 상품입니다.연금저축, IRP, DC형(Defined Contribution)에서 투자를 할 수 있어요. TDF란 이름처럼 은퇴 시점을 Target으로 하여 나이에 맞게 운용되는 펀드라고 보시면 됩니다.이 TDF 펀드를 사..

재테크 2022.08.01

한미의 금리역전! 한은의 대응과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미 연준에서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 금리 0.75% 인상)을 시행했습니다.그러면서 한국과 미국의 중앙은행 기준금리가 역전되었죠.이로써 한미 간 금리 역전은 2020년 2월 이후 약 2년 반 만에 다시 발생했습니다. 미 연준은 '22.06월에 0.75% 금리 인상을 단행했는데요 이는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 시행하는 자이언트 스텝이었습니다. 그런데 '22.06월 이어 '22.07월에도 0.75%를 인상하면서 연속 2번으로 올린 것이죠. 그리고 마침내 지난 6월 연준이 경기전망에서 언급한 중립금리(2.5%)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 중립금리란? 경기가 과열되지도 침체하지도 않는 금리 수준  왜 연준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을까? 미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 이유는 명확합니다.연준은 2%대..

재테크 2022.07.31

퇴직연금 종류(DC형, DB형, IRP) 비교 & 사전지정운용제도 설명

회사를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퇴직연금 제도에 대해 같이 알아보고자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퇴직연금제도란?  1. 개요 근로자들의 노후 소득보장과 생활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퇴직급여 재원을 사외(퇴직연금사업자)에 적립하고, 근로자가 퇴직하면 퇴직연금사업자가 적립금을 근로자에게 연금(또는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제도   2. 퇴직연금의 도입 배경 기존에는 퇴직을 하면 일시금으로 주는 퇴직금 제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존 퇴직금 제도에는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었을까요?일시금 지급이 대부분이며, 중간정산의 확산 등으로 인해 노후소득 보장기능이 미흡사내유보가 일반적이므로 기업도산 시 근로자의 수급권이 보호되기 어려웠음퇴직부채에 대한 실질적인 비용 예측이 어려워 경우에 따라 일시금..

재테크 2022.07.28

전기 아끼고 돈도 버는 '에너지 캐쉬백' 제도 소개! =)

전기요금 인상 뉴스가 자주 눈에 띄는 요즘입니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가가 급등하면서 지속적인 전기요금 인상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이죠. 요즘 같이 고 물가 시대한전에서 가정에서의 전력을 아끼고 아낀 만큼 돌려주는 에너지 캐쉬백 제도를 시행 중에 있더라고요! 알고 계셨나요?ㅎ그럼 지금부터 가입 방법부터 현금 돌려받는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회원 가입하기 1) 아래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하기 (쉬워서 별도 설명은 없어요!)2) 상단 메뉴의 에너지효율화 -> 에너지 캐쉬백 메뉴로 들어가 줍니다. https://en-ter.co.kr/main.do 한전 엔터 에너지마켓플레이스 EN:TER www.en-ter.co.kr* 신청기간 : '22.07.04 ~ '22.08.31* 에..

재테크 2022.07.20

세계 시총 1위 애플의 긴축 경영 돌입! 경기 침체의 신호탄?

1. 전 세계 시총 1위2. 시가총액 2조 4000억 달러 (2022.07.19 기준)3. 신용등급 Aaa (참고로 미국 국가 신용 등급 Aaa) 어떤 기업인지 아시겠죠?ㅎ 바로 애플입니다! 그런 어제 애플이 2.06% 하락을 했습니다.2%면 뭐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삼성전자보다 약 9배 큰 기업이 2% 빠진 거니깐 삼성전자가 18%나 빠졌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죠.어느 정도 큰 기업인지 감이 오시죠? 어제 하락 이유는 바로 긴축 경영에 나선다는 소식 때문이었습니다.애플은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채용 속도를 늦추고, 지출도 줄일 계획이라고 보고한 것이죠.다만 긴축은 일부 사업에만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1등 시총 애플이 긴축에 나섰다는 소식은 뉴욕증시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사..

재테크 2022.07.20

주담대 변동금리/전세대출 금리 기준지표인 코픽스의 무서운 상승세!ㅠ

우리는 은행으로부터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전세대출을 받으면 이자를 냅니다.변동금리로 받을 경우에는 일정 기간이 지날 때마다 금리가 변하게 되는데요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지수가 코픽스(COFIX, 자금조달비용지수)라는 지수입니다. 오늘('22.07.15) 이 코픽스 지수가 발표되었는데요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가 한달 새 0.4%나 올라서 2.38%가 되었습니다. (2010년 1월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 발표 이래 1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라고 합니다....ㅠ) 코픽스(COFIX, 자금조달비용지수)란?  주담대 변동금리/전세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는Cost of Funds Index의 약자로 정보제공 은행들의 자금조달금리를 가중 평균하여 산출한 '자금조달비용지수'를 의미합니다.쉽게 ..

재테크 2022.07.15

[이슈] 사상 첫 한국은행의 빅스텝! 그러나 충격적인 미국 CPI 지수

한국은행이 1999년 이후 처음으로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이상 인상)을 단행했습니다.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원화 약세 문제 해결과 물가 안정이 그 목적이었습니다. 이번에 기준금리를 0.5% 올리면서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연 2.25%가 되었습니다.'21.08월부터 정말 쉼 없이 올렸네요. 한국은행은 왜 빅스텝을 강행했을까? 안그래도 대출금리때문에 퍽퍽한대..한은은 왜 그런 우리 마음도 몰라주고 빅스텝을 강행했을까요?  1. 인플레이션! 대한민국의 '22.07월 CPI(전년대비)는 6.0%가 나왔습니다.CPI는 인플레이션을 볼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인데요높아질 수록 인플레이션이 심화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CPI 6.0%가 어느 수준이냐면 IMF 시절인 '98년 11월 CPI가 6.8%였습니다...

재테크 2022.07.13